YTN은 어제와 오늘,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고 있는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의 역사를 팩트체크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는 일제 강점기 강제노동을 희석하는 표현 때문에 국내에서 강한 비판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우리 초등학교 교과서는 객관적 사실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을까요? <br /> <br />신호 기자가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를 비교해 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 초등학생들은 5학년 2학기에 일제 강점기 역사를 배웁니다. <br /> <br />강제노동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지 열한 가지 검정 교과서를 전수조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'탄광, 공장 등에 데려가 일을 시켰고', '끌고 갔고', (김영사 / 금성출판사) <br /> <br />'전쟁에 필요한 사람과 물자를 강제로 동원', (아이스크림 미디어) <br /> <br />'열악한 환경에서 전쟁 물자를 만들도록 하거나', (지학사) <br /> <br />'노동자나 군인으로 끌고 가 강제로 동원', (동아출판) <br /> <br />'전쟁 막바지에는 어린 학생까지 끌고 갔다', (천재교과서) <br /> <br />'탄광에서 일하게 하거나', (비상교과서) <br /> <br />'무기 공장의 노동자로 끌고 갔다'. (교학사) <br /> <br />설명이 대부분 스무 글자 안팎으로 끝나서 강제노동의 역사적 배경이나 사실관계를 충분히 알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'다수의 조선인과 중국인이 강제적으로 동원되어 공장과 광산 등에서 가혹한 조건하에서 노동에 시달렸다. 젊은 여성도 공장 등에서 일하게 하여 전쟁에 협력하도록 했다'는 <br /> <br />일본 도쿄서적 6학년 사회 교과서와 비교할 때 부실한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우리 초등학교 교과서가 일본 교과서보다 강제노동의 역사를 더 충실하게 기록하고 있을 거라는 일반적 기대는 사실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교과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의 역사는 그나마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지만, 당시 불법적인 강제동원을 별도 단락으로 두고 배경과 피해 내용, 사진, 피해자의 구술자료까지 소개한 교과서는 '미래엔' 한 곳입니다. <br /> <br />'피해자들이 아직도 일본 정부로부터 사과를 받지 못하고 있다'는 역사적 교훈까지 소개한 교과서는 '천재교육' 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강제노동에 대한 우리 교과서 기술이 빈약한 이유는 교육부의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내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 교과서가 채택하고 있는 2015년 기준은 '침략을 극복하고 광복을 위해 노력한 인물'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개정될 교과서가 채택할 2022년 기준에서는 '식민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호 (sino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43022233606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